불광사 백일 관음기도 권선문(白日 觀音祈禱 勸善文)
페이지 정보
작성자 불성심 작성일21-11-14 12:47 조회1,469회 댓글0건본문
불광사 백일 관음기도 권선문(白日 觀音祈禱 勸善文)
불교(佛敎)의 본지(本旨)는 자비(慈悲)에 있는 것이며, 또한 자리(自利)와 이타(利他) 있는 것입니다.
관세음보살(觀世音菩薩)은 자비(慈悲)의 상징(象徵)이며, 이타(利他)의 근본 보살님이라 할 수 있습니다. 천수천안(千手千眼)으로 생사(生死)의 고통(苦痛)속에 허덕이는 중생들을 살펴 건지시고, 감로약수(甘露藥水)로써 오욕(五慾)의 뜨거운 불길에 타고 있는 중생들을 고통에서 건지시는 대자비행을 영겁(永劫)의 행원(行願)으로 삼고 있는 대성자모(大聖慈母)인 것입니다.
관세음보살님은 서른 두 가지 모습, 삼십이응신(三十二應身)으로 쉴 새 없이 중생들을 고통과 고난에서 건지시고, 대신력(大神力)으로 끊임없이 중생을 재도하시니 그 광대(廣大)하신 비원(悲願) 진실로 짐작할 수 없으며, 그 깊고 깊은 자비(慈悲)참으로 무어라 표현할 길이 없습니다.
박복(薄福)무지(無智)한 말세(末世)의 중생으로 누구나 관음대성(觀音大聖)의 가피(加被)를 구(求)하지 않을 수 없으며, 죄업 중생으로서는 백의자모(白衣慈母)의 따뜻한 손길을 바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.
유구개수(有求皆遂)라 하였으며 무원부종(無願不從)이라 하였습니다.
구(求)하는 대로 들어주고 원(願)하는 대로 모두 따라준다는 뜻입니다.
우리 어찌 구(求)하는 것이 없으며 원(願)하는 것이 없겠습니까?
하 많은 구(求)와 원(願)을 오직 관음대성(觀音大聖)에게 호소하고 백으자모(白衣慈母)에게 우리의 믿음과 염원과 정성을 올리는 것이 백일관음기도인 것입니다.
이러한 뜻에서 부처님 현신, 기도도량 불광사에서는 모든 정성(情誠)을 기우려 동참(同參) 발원(發願)으로 백일 관음기도(白日 觀音祈禱)를 다음과 같이 봉행(奉行)하고 다 같이 업장을 씻는 동시에 구(求)하고 원(願)하는 바를 대성(大聖) 관시음보살에게 발원코저 하오니, 신남(信男) 신녀(信女) 여러분들은 신성(神聖)한 백일기도대법회에 동참하시어 무루(無漏) 청복(淸福)을 얻으시고 하시는 일들을 원만히 성취하시기를 합장발원합니다.
◈ 백일기도 일시 ◈
● 백일기도입재 : 2021년 양력 11월 26일(음 10월 22일)오전10시
● 백일기도회향 : 2022년 양력 3월 5일(음 2월 3일) 오전 10시
● 기 도 법 사 : 회주스님, 노전스님
● 기 도 처 : 불광사 만불 보전 대법당
●백일기도동참금:십만원
[계좌번호 : 9002-1371-2474-9(예금주 불광사)]
대한불교 |
불 광 사 |
· |
불 광 불 교 대 학 |
|
조 계 종 |
대구시 남구 명덕로 32길 49 Tel. 053) 656-6766
※ 11월 24일 3층 설법전 1255 대아라한님께 추계헌공을 올립니다.
말법시대 중생들의 복전인 1255 아라한 불공에 동참하셔서 무량한 작복인연
(作福 因緣)함께 하시기 바랍니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